백두대간/백두대간 자료

[스크랩] 백두대간(白頭大幹) - 지봉유설,개념,유래,주요산,봉우리,고개,도로

하루방. 2013. 2. 4. 10:55

白頭大幹

 

我國諸山은             皆發源於白頭山하여      自摩天 . 鐵嶺而南하여  

아 국 제 산                      개 발 원 어 백 두 산                 자 마 천 .  철 령 이 남

우리 나라의 모든 산은       모두 백두산에서 근원이 되어     마천령.철령으로부터 내려와서

 

爲金剛 . 五臺 . 太白하고     至智異而盡焉이라.  

위 금 강  .  오 대  . 태 백                  지 지 리 이 진 언

금강 . 오대 . 태백산이 되고               지리산에 이르러서 다한다.

 

南師古가    嘗言曰              "白頭山脈이    不應到此而止라.         

남 사 고           상 언 왈                     백 두 산 맥        불 응 도 차 이 지

남사고가          일찍이 말하기를         "백두산맥이        응당 여기에 이르러 멈추지 않고

 

當是隱伏海中하여                           爲日本諸島云이라." 하니

당 시 은 복 해 중                                                 위 일 본 제 도 운

마땅히 이것은 바다 속으로 몰래 숨어 엎드려서         일본의 여러 섬이 되었다."고 말하니  

 

其說이   有理라.      今濟州漢拏도        亦其一也니라.

기 설          유 리               금 제 주 한 라                역 기 일 야

그 설이       일리가 있다.     지금 제주의 한라산도      또한 그와 한 가지이다.

                                                                                         

                                                                                  -「 지봉유설(芝峰類說) 」-

 

(상) * `일찍이~한 적이 있다, 시험 삼아~해 보다, 항상` 의 뜻으로 쓰인다.

    (응) * `응하다, 대답하다, 응당~해야 한다` 의 뜻으로 쓰인다.

    (운) * `~라 으르라.` 의뜻으로 쓰인다.

    `自 A 至 B`  * `A에서(부터) B에(로) 이르다.` 의 뜻으로 쓰인다.

 

▶ 지봉유설(芝峰類說) : 1614년(광해군 6)에 이수광이 편찬한 백과사전적인 저술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릅니다.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인식 체계입니다.

 
 
유래
 

우리국토의 등뼈를 이루는 중심 산줄기인 백두대간의 유래는 우리민족 고유의 성산인 {백두산(白頭山)}

의 신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백두산은 고대 단군신화로부터 시작해서 언제나 크고 높으며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졌으며 본격적으로 숭배화한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고려 태조 왕건의

탄생설화부터라 생각됩니다. 또한 조선 세종때 두만강, 압록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을 확보함에 따라

백두산은 영토의식 성립과 함께 민족의 산으로 명실상부하게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실질적 내용상의 백두대간이 최초로 나타난 문헌은 10세기 초이 고려 승려 도선이 지은 옥룡기(玉龍記)

로서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끝났으니 물의 근원, 나무 줄기의 땅이다."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다음으로 백두대간을 의미하는 대간(大幹)이라는 용어를 국내에서 최초로 사용한 문헌은 이중환의

[택리지](1751년)로서 "대간은 끊어 지지 않고 옆으로 뻗었으며 남쪽으로 수천리를 내려가 경상도

태백에 까지 통하여 하나의 맥령(脈嶺)을 일루었다."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백두대간과 백두정간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문헌은 이익의 [성호사설](1760년)로서, 백두산을

우리나라의 조종산이며 대간의 시작 산으로 보았으며 "백두대간(白頭大幹)"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산맥상황도 나름대로 제시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백두대간을 체계화한 것은 1770년경(영조)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로서 백두대간에 대해서

그 용어뿐만 아니라 백두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연결의 상태·관계·순서를 알기쉽도록

일목요연하게 표로 제시 하였습니다. 다만 산경표의 저자나 제작시기에 대하여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우리청에서는 ['96 백두대간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 의거 여암의 저서로 추정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여암이 지은 [산수고]에 산경의 내용이 있고 이 저술과 거의 동시기에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여

신경준이라고 보게 되었습니다.)

 
 
총 124개소 : 산(山) 57개소, 령(岺)> 48개소, 치(峙) 8개소, 현(峴) 7개소, 봉(峰) 4개소

백두산→ 연지봉→ 허항령→ 보다회산 → 사이봉 → 완항령→ 어은령→ 원산→ 마등령
→ 괘산령 →황토령 → 천수령 → 조가령 → 후치령 → 향령 → 태백산 → 부전령 → 대백역 산
→ 황초령 → 사향산 → 설한령 → 낭림산→ 상검산 →마유 산 → 횡천령 → 두무산 → 애전산
→ 철옹산 → 오강산 → 운령 → 무라발산 → 거차산 → 토령 → 장좌령 → 대아치 → 죽전령
→기린령 → 재령산 → 화여산 → 두류산 → 노동현 → 반룡산 →마은산 → 노 인치 → 박달령
→ 백학산 → 예운령 → 설탄령 →분수령 → 청하령 → 추포령 → 풍류산 → 철령 → 판기령
→ 기죽령 → 저유령→ 추지령 → 판막령 → 선령 → 온정령 → 금강산→회전령 → 진부령
→ 마기라산 → 흘리령 → 미시파령 → 설악→오색령 → 연수령 → 조침령 → 구룡령 → 오대산
→ 대관령 →삽당령 → 백봉령 → 두타산→ 청옥산 → 죽현 → 건의령 → 대박산 → 태백산
→ 수다산→ 백병산 → 마아산 → 곶적산 → 소백산→죽령 → 도솔산 → 작성산 → 대미산
→ 계립산 → 조령 → 이화현 → 희양산→ 주현 → 대야산 → 불일산 → 화산 →속리산→구봉산
→ 봉황산 → 웅현 → 웅이산 → 고산 → 흑운산 → 추풍령 → 계방산 → 황악산 → 삼성산 → 우두산
→ 삼도봉 → 대덕산 →덕유산 → 백암봉 → 봉황산 → 육십치 → 장안치 → 본월치 →백운산→ 기치
→ 유치 → 여원치 → 지리산
 
 
※는 국립공원에
포함된 산임
순서
지 명
고도(m)
위 치
현 황
1
마산 1,052 강원도 고성군

풍속계측기가 있음(높이 5∼10m,

넓이5평),
방치된 군부대 건물

2
신선봉 1,204          "          , 인제군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3
※ 황철봉 1,381 강원도 인제군, 속초시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4
※ 대청봉 1,708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속초시

기념비석과 안내판, 대청봉과

중청봉 사이에 대피소가 있음

5
※ 망대암산 1,236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정상주변은 바위지대로 위험지역
6
※ 점봉산 1,424 이정표, 정상표시석
7
갈전곡봉 1,204 강원도 홍천군, 인제군, 양양군 정상부 너른터
8
약수봉 1,306 강원도 홍천군, 양양군  
9
응복산 1,360  
10
※ 두로봉 1,422 강원도 평창군, 홍천군, 강릉시

오대산국립공원,
이정표와 동부지방산림관리청

안내판

11
※ 동대산 1,434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산불감시초소, 산림유전자원

보호림지시석,
국립공원이정표, 정상에 헬기장

12
※ 노인봉 1,338

정상 바로 밑에 산장, 이정표

있음

13
※ 소황병산 1,338

정상 표시석, 안내판, 정상은

초지(목장)

14
※ 매봉 1,173 목장, 기상관측시설
15
능경봉 1,123  
16
고루포기산 1,238

정상 남쪽에 고랭지 채소

재배단지,송전철탑

17
화란봉 1,069 강원도 강릉시  
18
석두봉 991 정상 바위지대
19
두리봉 1,033 강원도 정선군, 강릉시  
20
석병산 1,055 정상 바로밑 헬기장
21
자병산 873 한라시멘트 석회광산
22
상월산 970 강원도 정선군, 동해시 헬기장
23
고적대 1,354 강원도 정선군, 동해시, 삼척시

정상표시석, 동부지방산림

관리청 경고판

24
청옥산 1,404 강원도 동해시, 삼척시 정상은 50평 규모의 너른 터
25
두타산 1,353 기념비석, 헬기장
26
덕항산 1,071 강원도 삼척시, 태백시 산불감시탑
27
매봉산 1,303 강원도 태백시

산 전체가 고랭지채소

재배단지 낙동정맥 분기점

28
함백산 1,573 강원도 태백시, 정선군

정상에 KBS중계소와 군부대,
폐광된탄광, 도로망이 얽혀

있음

29
태백산 1,567 강원도 태백시

도립공원, 정상에 천제단,

헬기장,기념비석, 기상측후시설이 있음

30
구룡산 1,346 강원도 영월군, 경북 봉화군 헬기장, 산불방화선
31
옥돌봉 1,242 경상북도 봉화군 헬기장
32
선달산 1,236 강원도 영월군, 경북 영주시, 봉화군 헬기장
33
※ 국망봉 1,421 충북 단양군, 경북 영주시

소백산국립공원, 이정표,

안내판

34
※ 소백산 1,440 정상기념비석, 안내판, 이정표,
정상 밑에는 무인대피소
35
※ 도솔봉 1,314 이정표와 헬기장
36
※ 황정산 1,078 경상북도 문경시

월악산국립공원, 헬기장, 정상

표지목

37
※ 대미산 1,115 충북 제천시, 경북 문경시 돌탑과 기념비석
38
※ 포암산 962 충북 괴산시, 경북 문경시 돌탑과 기념비석
39
※ 마폐봉 927 이정표, 기념비석
40
조령산 1,025

돌탑, 표지석,

문경새재도립공원

41
백화산 1,064 기념비석
42
회양산 998 바위지대
43
※ 장성봉 915 경상북도 문경시 정상 표시목
44
※ 대야산 931 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 기념비석, 정상 표시목
45
조항산 951 정상 표시목
46
청화산 984 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 상주시 정상 표시목
47
※ 문장대 1,029 충북 보은군, 경북 상주시

경찰통신중계소, 이정표,

헬기장, 전망대

48
※ 천황봉 1,058

국립공원 안내판, 정상기념

비석, 한남금북정맥분기점

49
※ 형제봉 803 정상표시목
50
봉황산 741 경상북도 상주시 정상표시목
51
백학산 615 제단과 태극기 있음
52
국수봉 793 충북 영동군, 경북 상주시 돌탑, 제단
53
묘함산 733 경북 김천시, 충북 영동군 통신중계소, 도로
54
눌의산 743 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 헬기장
55
가성산 720
56
황학산 1,111 헬기장, 정상기념비석
57
삼도봉 1,177 충북 영동군, 전북
무주군, 경북 김천시

정상에 대형 기념탑, 헬기장,

이정표

58
대덕산 1,290 전북 무주군, 경북 김천시 헬기장
59
삼봉산 1,254 전북 무주군, 경남 거창군 정상에 기념비석
60
※ 무룡산 1,492

덕유산국립공원, 헬기장,

이정표

61
※ 남덕유산 1,507 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 거창군 국립공원 이정표
62
※ 남덕유서봉 1,500 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 헬기장
63
깃 대 봉 1,015 정상부 초지
64
영취산 1,076 호남정맥의 분기점
65
백운산 1,279 헬기장, 기념비석
66
월경산 980 경남 함양군, 전북 장수군
67
봉화산 920 전북 장수군, 남원시 정상은 초지, 임도, 헬기장 있음
68
고남산 846 전북 남원시

이동통신 중계소, 헬기장,

도로있음

69
수정봉 805 성터흔적이 있음
70
※ 고리봉 1,305 태양열 연구시설, 이정표
71
※ 만복대 1,433 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 돌탑, 고산초지, 이정표 있음
72
※ 노고단 1,507 전남 구례군 KBS중계소, 산장, 야영장
73
※ 반야봉 1,732 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  
74
※ 삼도봉 1,449 전북 남원시, 전남 구레군, 경남 하동군 이정표
75
※ 천왕봉 1,915 경남 함양군, 산청군 기념비석, 이정표, 헬기장
 
 
고 개 명
행 정 소 재
도 로 현 황
진 부 령 고성군 간성읍-인제군 북면 2차선포장, 46번국도, 간성읍 홀리출장소있음
미 시 령 고성군 토성면-인제군 북면 2차선포장, 466번지방도, 휴게소
※ 한 계 령 인제군 북면-양양군 서면 2차선포장, 44번국도, 휴게소, 설악산국립공원
※ 451번도로 인제군 인제읍-양양군 서면 2차선포장, 451번지방도, 설악산국립공원
조 침 령 인제군 기린면-양양군 서면 비포장도로, 노폭 7m
구 룡 령 양양군 서면-홍천군 내면 2차선포장, 56번국도, 산림문화회관
※ 진 고 개 강릉시 연곡면-평창군 도암면 2차선포장, 6번국도, 휴게소, 오대산국립공원
대 관 령 강릉시 성산면-평창군 도암면 4번영동고속도로, 휴게소, 기상관측소
닭 목 재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왕산리 2차선포장, 137번지방도, 농업용창고 있음
삽 당 령 강릉시 왕산면 송현리-강릉시 2차선포장, 35번국도, 고개양쪽으로 임도가 나있음
백 복 령 정성군 임계면-동해시 2차선포장, 42번국도, 철탑, 통신중계탑
댓 재 삼척시 미로면-하장면 2차선포장, 424지방도, 소공원, 간이매점
한 의 령 삼척시 도계읍-하장면 비포장도로 노폭 10m, 산신각
피 재 태백시 적각동-황지동 2차선포장, 35번국도, 소공원, 간이매점
싸 리 재 태백시 화전동-정선군 고한읍 2차선포장, 38번국도, 간이휴게소
화 방 재 영월군 상동읍-태백시 혈동 2차선포장, 31번국도, 휴게소
금 정 임 도 봉화군 춘양면, 고도 970m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우구치 임도 봉화군 춘양면, 고도 900m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7m
도래기재 봉화군 춘양면

봉화방면 2차선포장, 영월방면 비포장,

998번지방도

박 달 령 봉화군 물야면-춘양면 비포장도로, 노폭 8m, 헬기장, 산신각
※ 마 구 령 영주시 부석면 비포장도로, 노폭 7m, 소백산국립공원
※ 고 치 령 영주시 단산면 비포장도로, 헬기장, 산신각, 소백산국립공원
※ 죽 령 영주시 풍기읍-단양군 대강면 2차선포장도로, 5번국도, 소백산국립공원, 휴게소
저 수 재 단양군 대강면-영주시 상리면 2차선포장도로, 973번지방도, 휴게소, 주유소
벌 재 재 문경시 동로면 2차선포장도로, 975지방도, 월악산국립공원
※ 하 늘 재 문경시 문경읍-충주시 상모면

비포장도로, 597번지방도, 노폭10m,

월악산국립공원

조 령 문경시 문경읍-괴산군 영풍면 2차선포장도로, 문경새재 도립공원, 차량통행불가
이 화 령 문경시 문경읍-괴산군 영풍면 2차선포장도로, 3번국도, 휴게소, 지하터널공사
※ 불란치재 문경시 가은읍 2차선포장도로, 913번지방도, 속리산 국립공원

 

 

고 개 명 행 정 소 재 도 로 현 황
눌 재 상주시 화북면 2차선포장도로, 992번지방도, 농업용 대형창고
※ 밤 티 재 상주시 화북면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속리산국립공원
비 재 상주시 화남면 비포장도로, 노폭 7m
화 령 재 상주시 화서면 2차선포장도로, 25번국도, 공원 및 정자있음
신의터고개 상주시 화동면 2차선포장도로, 군도, 소공원
지 기 재 상주시 모동면 2차선포장도로, 군도
백학산임도 상주시 모동면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윗왕실임도 상주시 공성면-외남면 비포장도로, 노폭 10m
봉산리도로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농업도로, 콘크리트포장, 노폭 10m
큰 재 상주시 공성면 김천방면포장, 920번지방도, 인성초등분교(폐교)
작점리도로 영동군 추풍령면-김천시 어순면 2차선포장도로, 지방도
추 풍 령 영동군-김천시 경부고속도로, 경부선철도, 4번국도, 면소재지
궤 방 령 영동군 매곡면-김천시 봉산면 2차선포장, 977지방도
질 매 재 영동군 상촌면-김천시 부항면 김천방면 2차선포장, 579지방도, 매일유업 목장
덕 산 재 무주군 무풍면-김천시 대덕면 2차선포장도로, 30번국도, 주유소, 휴게소
소 사 재 무주군 무풍면-거창군 고제면 무주방면 2차선포장도로, 1089지방도, 간이매점
신 풍 령 무주군 무풍면-거창군 고제면 2차선포장도로, 727지방도, 휴게소
육 십 령 장수군 장계면-함양군 서상면 2차선포장도로, 26번국도, 휴게소, 주차장
중고개재 장수군 번암면-함양군 백전면 비포장도로, 노폭 6m
봉화산임도 장수군 번암면-아영면 임업도로, 노폭 7m
복성이뒷재 남원시 아영면-장수군 번암면

장수번암면 지방도, 남원 2차포장도, 장수

포장공사중

사 치 재 남원시 아영면-장수군 번암면 88고속도로, 휴게소
유 치 장수군 번암면-남원시 운봉면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마을있음
여 원 재 남원시 이백면-운봉면 2차선포장도로, 24번국도, 마을있음
고기리도로 남원시 주천면-운봉면 2차선포장도로, 730번지방도, 휴게소
※ 정 령 치 남원시 주천면-산내면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지리산 국립공원
※ 성 삼 재 구례군 산동면 2차선포장도로, 861지방도, 휴게소
※ 벽 소 령 함양군 마천면-하동군 화개면

비포장도로, 군사도로, 마천방면 소형트럭 이동

가능,
지리산국립공원

                                                             출처:http://www.foa.go.kr/html/kor/_images/top_im.gif

 

출처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글쓴이 : 범여(梵如) 원글보기
메모 :